방송기술

방송기술

[방송기술] 네트워크 스토리지 종류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이더넷을 통해 스토리지와 연결하는 방식. 이더넷 케이블을 사용한다. 인터넷 공유기에 연결하면 같은 이더넷 네트워크에 연결된 PC로 NAS에 접근할 수 있다. 장점: 이처럼 범용적인 네트워크 장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나 유지 관리가 쉽다. 단점: 같은 이더넷에 연결된 장비들과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에 대역폭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광케이블보다 속도가 느리다. * NAS 프로토콜 - NFS (Network File System) - SMB/CIFS (Server Message Block / Common Internet File System) - FTP (File Transfer Protocol) - HTTP (Hyper Text Transfer..

방송기술

[방송기술] 방송국에서 사용되는 서버의 종류

방송국에서는 여러 종류의 서버를 사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그러한 서버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플레이아웃 서버: 플레이아웃 서버는 방송국에서 방송 콘텐츠를 스케줄링하고,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그래픽, 자막, 오디오 트랙 등을 합성하여 완성된 방송 스트림을 생성합니다. 비디오 서버: 비디오 서버는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플레이아웃 서버나 편집 시스템으로 전송합니다. 이들은 보통 높은 데이터 전송률과 큰 저장 공간을 가지고 있어, 방송 품질의 비디오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미디어 자산 관리 서버(Media Asset Management, MAM 서버): 이 서버는 방송국이 보유한 모든 미디어 자산(영상, 오디오, 이미지, 문서 등)의 저장, 관리, 검..

방송기술

[방송기술]FFmpeg: 강력한 오픈 소스 멀티미디어 처리 프레임워크

FFmpeg은 강력한 오픈 소스 멀티미디어 처리 프레임워크로, 비디오, 오디오, 그리고 다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형식의 녹화, 변환, 그리고 스트리밍을 수행합니다. 그 이력은 2000년대 초반에 거슬러 올라가며, 그 이후로 수많은 미디어 형식에 대한 광범위한 지원을 통해 그 자체로 표준이 되었습니다. FFmpeg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높은 유연성과 확장성입니다. 이는 비디오와 오디오 파일을 거의 모든 형식에서 다른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비디오 해상도 변경, 비트레이트 조절, 오디오 채널 수 변경 등의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FFmpeg는 필터를 통해 비디오와 오디오 스트림에 여러 가지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FFmpeg은 특히 스트리밍에 유용하며, 실시간 비디오와 오디오 ..

방송기술

[방송기술]트랜스코더(Transcoder)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비디오 트랜스코더는 비디오를 한 포맷에서 다른 포맷으로 변경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말합니다. 디지털 미디어에서 중요한 도구인데, 이는 비디오 파일이 다양한 형식으로 존재하고, 각각의 형식이 각기 다른 강점과 약점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비디오 형식은 종종 다른 플레이어와 장치와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트랜스코딩을 사용하여 비디오를 가능한 한 많은 플랫폼에서 볼 수 있게 할 수 있습니다. 방송국에서 트랜스코더를 쓰는 이유는 다양한 포맷으로 들어오는 영상을 하나로 통일하기 위함입니다. 영상을 전송하거나 편집할때 불필요한 리소스가 필요하지 않게됩니다. 그리고 저해상도 영상을 만들어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합니다. 비디오 트랜스코딩에 대해 알아야 할 주요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파일 형식 변환: 트랜스코..

방송기술

[방송기술]송출서버 & 로컬송출서버

송출서버 주로 미디어 스트리밍, 라이브 스트리밍, 동영상 게임 스트리밍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버입니다. 주로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송출서버 역할 미디어 처리: 송출서버는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등의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고 압축하여 사용자에게 전송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이를 통해 고화질의 미디어 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저장 및 전송: 송출서버는 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전송합니다. 이를 위해 대용량의 저장장치와 빠른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합니다. 스트리밍 프로토콜 지원: 송출서버는 다양한 스트리밍 프로토콜(예: HTTP 스트리밍, RTMP 스트리밍)을 지원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디바이스..

방송기술

[방송기술]매개코덱

매개코덱 매개코덱(Intermediate Codec,중간 코덱)은 NLE 나 송출서버등 하드웨어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코덱을 말합니다. 촬영 원본 소스가 고압축 또는 무압축된 상태일때 편집기에서 불러와 작업하는 과정이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빠르게 미리보기하거나 컷편집을 해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로딩이 되어버리면 편집시간이 많이 걸리겠죠. 그래서 이런 부담을 없애기 위해 매캐코덱을 이용 원본 소스를 화질저하가 없는 또는 납득할 수 있는 수준으로 화질을 살짝 떨어트리는 형식으로 변환시키게 됩니다. 주요 NLE 소프트웨어는 대부분 고유한 매개코덱을 가지고 있습니다. 매개코덱 종류 애플의 ProRes, 아비드의 DNxHD, 그라스밸리의 HQ와 HQX, 소니의 HDCAM HD가 대표적인 매개 코덱들인데, 대부분..

방송기술

[방송기술]CG에서 Key와 Fill에 대해 알아보자.

CG(컴퓨터 그래픽스)에서 key와 fill은 다운스트림 키잉(Downstream keying) 기술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운스트림 키잉 기술에서는 key와 fill이라는 두 가지 입력 신호가 필요합니다. key 신호는 알파 채널로도 알려진 투명도 정보가 포함된 비디오 소스입니다. 반면에 fill 신호는 이 key 신호와 결합될 내용이 담긴 비디오 소스입니다. key와 fill은 두 개의 다른 비디오 소스입니다. key는 일반적으로 투명한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 배경을 제거하고 fill 신호와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됩니다. 이 합성된 영상은 다운스트림에 있는 시청자에게 전송됩니다. CG에서 key와 fill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됩니다. 일부 솔루션에서는 전문적인 그..

방송기술

다운스트림 키잉과 업스트림 키잉의 차이는?

다운스트림 키잉(Downstream keying)과 업스트림 키잉(Upstream keying)은 비디오 프로덕션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기술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송출되는 비디오 신호를 조작하는 방법입니다. 다운스트림 키잉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소스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그래픽, 문자 및 다른 비디오 소스를 원본 비디오에 합성하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처리는 보통 스튜디오나 방송국에서 수행됩니다. 반면에, 업스트림 키잉은 일반적으로 카메라에서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고, 그래픽 또는 다른 비디오 소스를 원본 비디오에 합성하는 기술입니다. 업스트림 키잉은 카메라 자체에서 수행되므로, 다운스트림 키잉보다 더 높은 처리 능력과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업스트림 키잉 기술은 뉴스나 스포츠 방송에서..

방송기술

CG 합성할 때 키와 필을 써야하는 이유

CG 합성 시 키(Key)와 필(Fill)을 사용하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키와 필을 사용하면 합성된 이미지를 더욱 정교하고 섬세하게 다듬을 수 있습니다. 키와 필을 사용하면 비디오 소스에서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고 다른 소스와 결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녹색 배경에 대해 녹색 스크린을 사용하여 배경을 제거하면, 녹색으로 설정된 부분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그래픽 요소를 다른 비디오 소스에 더욱 정확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둘째, 키와 필을 사용하면 이미지를 합성하는 데 필요한 계산 작업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키와 필을 사용하면 합성된 이미지를 여러 레이어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각 레이어에 대한 처리를 분리하여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그래픽 처리의 복잡성을 줄이..

방송기술

서버가 블레이드 타입이 많은 이유

서버가 블레이드 타입이 많은 이유 첫째, 높은 밀도(density)와 우수한 확장성(expandability)입니다. 블레이드 서버는 보통 랙(Rack) 형태로 설치되며, 한 랙에 여러 대의 블레이드 서버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기존의 타워형 서버나 1U 랙 서버보다 많은 수의 서버를 한정된 공간 안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리적인 공간의 효율성과 용량 확장성에서 우수한 선택이 됩니다. 둘째, 효율적인 전력 관리와 냉각 시스템입니다. 블레이드 서버는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Unit)와 팬, 그리고 기타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이 모듈화되어 있어, 전력 소비와 냉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서버의 팬은 각 블레이드 서버 단위로 관리되며, 필요에 따라..

어쩌다 엔지니어
'방송기술' 카테고리의 글 목록